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관련 요인 > 사업성과

본문 바로가기

사업성과

사업성과

논문 |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관련 요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03-26 13:22 조회385회 댓글0건

본문



b32a2ce325fbe114d80678e839b7c584_1616732482_1025.png 



윤도경, 전혜정, 주수산나, 이선아. (2020).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40, 1307-1325. 


DOI: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307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의 대규모 종단자료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년도(2006년)부터 5차년도(2014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최종적으로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독거가구를 유지한 만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45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잠재계층 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을 이용하여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궤적에 따른 잠재 집단의 수를 검증하였고, 이후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궤적과 관련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요인으로는 1차년도 변수들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심리적 특성, 건강행동 요인, 대인관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지기능 수준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집단(‘고수준 유지’; 45.3%), 인지기능 수준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집단(‘감소’; 33.9%), 마지막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집단(‘저수준 유지’; 20.8%)으로 총 3개의 하위집단이 추출되었다. 이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과 우울수준이 낮고, 교육수준과 가구소득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 수준이 높을 때 ‘저수준 유지’ 집단보다는 ‘고수준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음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감소’ 집단보다는 ‘고수준 유지’ 집단 그리고 ‘저수준 유지’ 집단보다는 ‘감소’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우울수준이 낮을수록 ‘저수준 유지’ 집단보다 ‘감소’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인구 학적 특성과 사회활동 참여가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유지에 있어서 중요함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예방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stinct patterns of cognitive function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women in single households and to investigate their associated factors. We used data from the fiv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urvey collected biennially from 2006 to 2014. The sample was 245 women aged 65 or above who had maintained the single household status for the five waves.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distinct patterns of cognitive function trajectory were identified. Then,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dentified trajectories and various factors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factors at wave 1).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distinct patterns of cognitive function trajectory: ‘maintaining-low’ (20.8%), ‘moderate-decreasing’ (33.9%), and ‘maintaining-high’ (45.3%).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maintaining-low’ group, women who were younger and scored lower level of depress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oderate-decreasing’ group and the ‘maintaining-high’ group, respectively. Furthermore, those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who participated in more various types of social activities (e.g., participation in leisure/culture/sports clubs, volunteering work)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aintaining-high’ group. Compared to the ‘moderate-decreasing’ group, those who were younger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aintaining-high’ group. Findings suggest that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engagements may be critical for cognitive function among older women in single households, and encouraging them to remain socially active may help prevent poorer cognitive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