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50
3.14.11.50
close menu
KCI 등재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사회적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 영향과 대처전략을 통한 매개효과: 한국과 미국 청소년의 비교연구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Aggression in Early Adolescence: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이해나 ( Lee Hannah ) , 김현경 ( Kim Hyoun K. )
청소년학연구 27권 10호 109-136(28pages)
DOI 10.21509/KJYS.2020.10.27.10.109
UCI I410-ECN-0102-2023-300-000518424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 피해를 경험하는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불안과 공격성 간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를 대처전략(인지적 거리 두기, 문제 해결, 복수하기)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한국과 미국 청소년 간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19년 사이 한국 소재 4개 중학교와 미국 앨라배마 주 소재 3개 중학교에서 수집된 754명(만 12~15세)의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과 부트스트래핑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 청소년 모두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사회적 불안과 공격성의 증가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미국 청소년 모두 대처전략 중 하나인 복수하기를 매개로 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청소년은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인지적 거리 두기를 통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 청소년의 경우 이 매개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을 위한 또래 괴롭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peer victimization influenced social anxiety and agg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oping strategies among early adolescents from Korea and U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such associations diffe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Early adolescents’ self-reported data were collected in middle schools from Korea and Alabama, US. Finding suggests that peer victimization showe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ocial anxiety and aggression for both Korean and US students. Peer victimization also indirectly influenced aggression through increased levels of revenge for both countries. However, peer victimization indirectly influenced social anxiety through increased levels of cognitive distancing for Korean students on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ating path from peer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through cognitive distanc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ating path from peer victimization to aggression through reve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ignificant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effective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that are aimed at preventing negative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in Korean adolesc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